강원도 최초 생체 간 이식 수술 성공 | |
![]() |
![]() |
---|---|
강원도 최초 생체 간 이식 수술 성공리에 마쳐...
간경변으로 고통받는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간 떼어준 딸
간 이식 수술은 말기 간질환 또는 간암 환자가 새 삶을 찾을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이다. 강릉아산병원(원장 김인구) 간이식팀에서는 강원도 최초로 생체 간 이식 수술을 성공리에 실시했으며, 기증자와 수혜자
모두 빠른 회복세를 보여 건강하게 퇴원하게 되었다.
지난 6월 23일(토) 알코올성 간경변(간경화)을 앓고 있어 간 이식을 받지 않으면 지속적인 삶을 이어가기가
어려운 아버지(46세)를 위해 딸(17세)이 자신의 간을 떼어 이식해 주는 간 이식 수술은 오전 7시부터 약 10시간 동안 외과 최건무 교수의
집도로 진행되었다.
간이식은 크게 가족 또는 친척 간에 이루어지는 생체 간이식과 뇌사자의 간을 구해서 시행하는 뇌사자 간이식으로 나눌
수 있는데, 우리나라는 전체 간이식의 85% 이상이 생체 간 이식으로 대부분 가족이나 친척으로부터 이식 받고 있는 실정이다.
건강한 사람의 간을 떼어내야 하는 이식 수술의 경우에는 남겨지는 간 조직과 떼어내는 간 조직 모두 혈관과 담도
등의 손상 없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생체 간 이식 수술은 높은 난이도와 고도의 술기 그리고 수술 후 관리가 필요하다. 이번 수술이
강원도에서는 최초로 시행한 만큼 강릉아산병원의 높은 의료수준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.
아버지를 위해 간 이식을 결정한 딸은 수술 후 “아버지와 나 모두 수술이 잘 돼 건강하게 퇴원 할 수 있게
되어 매우 기쁘다”라고 부친에 대한 사랑을 표현했으며, 수혜자인 아버지는 “부모 된 도리로 면목이 없다”며 눈시울을
붉혔다.
![]() |
본관 | 신관 | |||
---|---|---|---|---|
9F | 91병동 | 92병동 |
![]() |
93병동 |
8F | 81병동 | 82병동 |
![]() |
83병동 |
7F | 71병동 | 72병동 |
![]() |
73병동 |
6F | 61병동 | 62병동 , 병원학교 |
![]() |
63병동 (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) |
5F | 50병동(응급병동), 51병동 |
52병동, 분만장, 신생아실, 신생아집중치료실, 옥외가든 |
![]() |
53병동 (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), 세미나실, 옥외가든 |
4F | 응급집중치료실, 당일수술센터, 통증클리닉 | 집중치료실, 수술실, 회복실 |
![]() |
병리과(세침흡인실), 인공신장실, 교육수련부, 의학도서관 |
3F | 로비, 안내데스크, 감염내과, 가정의학과, 류마티스내과, 모유수유실, 소아청소년과, 신경과, 신경외과, 신장내과, 암센터, 외과, 정형외과, 재활의학과, 척추센터, 통증클리닉, 혈액종양내과, 호흡기알레르기내과, 호흡기알레르기검사실, 입원전검사실, 외래약국, 원무팀(접수·수납·입원/퇴원수속·제증명), 의무기록/영상복사, 주사실(외래/특수), 진료협력센터, 채혈실, 갤러리, 현금입·출금기, 커피&생과일주스점 |
![]() |
아산기념전시실, 이비인후과, 비뇨기과, 체외충격파쇄석실, 안과, 성형외과, 피부과, 정신건강의학과, 치과, 외래수납창구 | |
2F | 권역응급의료센터, 고압산소치료센터, 뇌신경검사실, 소화기병센터, 영상의학과(CT·MR·일반촬영), 재활치료실, 초음파검사실, 혈관조영실, 핵의학과, 의료장비U/T, 이발소 |
![]() |
내분비내과, 산부인과, 심장내과, 심혈관검사실, 일반내과, 흉부외과, 신관채혈실, 영양상담실, 외래수납창구 | |
1F | 진단검사의학과(혈액은행), 약제팀, 간호부, PI실(QI/CS/감염관리), 보험심사, 의무기록실, 기획실(기획/홍보/의료정보), 지원팀(경리/자재), 총무팀(서무/후생), 통신실, 직원휴게실, 장례식장 | 로비, 안내데스크, 종합건강진단센터, 건강관리센터, 베즐리 | ||
B1F | 방사선종양학과, PET-CT실, 가정간호, 중앙공급실, 시설팀(건축/전기/설비), 중앙감시실, 새마을금고, 건강식품, 빨래방 | ![]() |
인사팀, 영양UNIT, 현대그린푸드 종교시설(불교, 가톨릭, 기독교) |